최저임금 계산기

2026년 최저임금 월급계산 –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와 내년 인상률까지

2026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어요. 시급은 10,320원으로 2025년 대비 290원 인상된 금액이에요. 이번 인상률은 2.9%로, 근로자의 생계 보장과 고용시장 여건을 고려해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심의·결정한 결과랍니다.

그렇다면 월급으로는 얼마일까요? 주 40시간 근무에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환산 기준 시간(209시간)을 적용하면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이에요. 즉, 2026년에는 월급 기준 약 215만 원을 받게 되는 셈이죠.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2,588만 원 정도가 돼요.

연도시급인상률월급(209시간 기준)
2026년10,320원2.9%2,156,880원
2025년10,030원1.7%2,096,270원
2024년9,860원2.5%2,060,740원
2023년9,620원5.0%2,010,580원
2022년9,160원5.05%1,914,440원

최저임금은 매년 꾸준히 인상되어 왔어요. 2016년 6,030원이었던 시급은 2018년에 7,530원으로 큰 폭으로 오르며 주목을 받았고 이후 2020년에는 8,590원, 2023년에는 9,620원을 기록했어요. 급격한 인상 이후 최근에는 다소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요.

2026년에는 10,320원으로 확정되며 드디어 시급 1만 원 시대를 넘어섰어요. 월급으로는 약 215만 원이 적용되며, 이는 2024년 대비 약 96,000원이 오른 수치예요. 최근 10년간 흐름을 보면 최저임금은 경제와 고용 여건에 따라 인상률이 달라졌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답니다.

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 10,320원으로 인상되면서 많은 분들이 자신의 월급이나 연봉이 최저임금 이상인지 궁금해하고 있어요. 이럴 때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최저임금 계산기예요.

최저임금 계산기는 시급을 기준으로 하루·주간·월간 근무 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월급과 연봉을 계산해주는 유용한 도구예요. 특히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이머 등 시급제로 일하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계산기랍니다. 고용노동부의 최저임금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보다 내 임금을 계산할 수 있어요. 근로시간, 기본급, 기타 수당 등 본인에게 맞는 정보를 입력하면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답니다.

최저임금차등적용이란 업종이나 지역, 기업 규모에 따라 서로 다른 최저임금을 적용하자는 제안이에요. 특히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계는 인건비 부담을 이유로 매년 이 방안을 주장하지만, 2026년에도 단일 최저임금제가 유지되었어요.

차등적용이 채택되지 않는 이유는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이라는 헌법 원칙, 운영의 복잡성, 노동자 간 형평성 문제 때문이에요. 결국 최저임금위원회는 전국 동일한 시급 10,320원으로 결정하며, 차등적용 없이 모두에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어요.

추천 머니레터

신용 점수 올리기
2025 세제개편안
경차 유류세 환급 제도
헬스장 수영장 소득공제
출국 납무금 환급
민생회복 소비쿠폰

의견 남기기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