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지표란?
RSI(Relative Strength Index) 지표란? 1978년 월레스 윌더(J. Welles Wilder, Jr)라는 엔지니어 출신의 투자자가 개발한 상대강도지수로, 주식의 추세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를 말해요. 쉽게 말해 현재의 주가가 상승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를 뜻하지요. RSI 지표는 설정한 기간의 주가가 전일 가격 대비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을 각각 평균 낸 후, 상승한 변화량이 더 크다면 과매수, 하락한 변화량이 더 크다면 과매도로 판단해요. 따라서 RSI 지표를 보고 이 주식이 과매수 상태인지, 과매도 상태인지 알 수 있답니다. 보통 RSI 지표가 70 이상이라면 과매수(overbought), 30 이하라면 과매도(oversold) 상태로 판단해요.
RSI 지표는 계산하는 방법이 따로 있지만 이미 주식 차트에서 보조 지표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따로 계산할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일반 주식 차트에서는 이 지표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보조 지표’ 항목에서 RSI 지표를 선택해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해 줘야 해요. RSI 지표도 백분율 범위 내에서 주가와 마찬가지로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어요. RSI 지표를 개발한 윌레스 윌더는 기본적으로 14일을 주기로 RSI 지표를 확인하라고 권장했지만, 이 외에도 9일, 25일 등 원하는 기간으로 설정해 확인할 수 있답니다.
RSI 지표는 이동 평균선을 함께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이때 이동 평균선은 RSI 지표의 기준 기간보다 짧게 설정하여 표시하는데요. 예를 들어, RSI 지표를 14일로 설정했다면 5일 또는 9일의 이동 평균선을 함께 표시하여 확인한답니다.
RSI 지표 장단점
주식 투자를 할 때 RSI 지표를 참고하면 좋은 이유는 바로 과매수와 과매도를 식별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RSI 지표가 70 이상이라면 과열된 상태인 과매수로 판단하고, 30 이하라면 침체 상태인 과매도로 판단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지요. 따라서 RSI 지표를 참고해 매수나 매도 적기를 잡을 수 있으며, 앞으로의 추세 변화를 예측하여 막대한 손실을 막는 데도 도움이 돼요. 또한 RSI 지표는 주식 외에도 코인, 외환 등 다양한 상품을 투자할 때 참고 지표로 활용할 수 있어요.
이러한 장점과 반대로 RSI 지표의 해석을 100% 신뢰하며 안된다는 한계도 있어요. 우선 변동성이 높은 주식 시장은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RSI 지표를 활용하더라도 추세 변화를 잘못 인지할 수 있어요. 또한, 오류가 있을 수 있어 RSI 지표 하나만 의지하기보다는 다른 지표들을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지요. 그 밖에도 RSI 지표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한 값이므로 진입 또는 탈출 신호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요. 그리고 같은 RSI 지표를 보더라도 그에 따른 해석이 모두 다를 수 있어 이를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하기는 어렵답니다.
RSI 지표 작동 방법
RSI 지표는 가격의 크기 변동과 움직임의 속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오실레이터 TA 지표로서 투자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는데요. 보통 14일의 기간에 걸쳐 자산의 변화를 측정하며, RSI 지표를 구하는 계산 공식으로 그 값을 나타낸답니다. 자세한 계산 공식은 다음 내용에서 확인하세요. RSI 지표가 100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백분율을 보인다면 그만큼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으며 활발히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해요. 반대로 백분율이 낮은 수치라면 해당 주식이 시장에서 잘 매매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죠. 일반적으로 과열된 상태는 RSI 값이 70을 넘어갔을 때 고점으로 향하고 있다고 판단해요. RSI 지표는 설정한 기간을 짧게 할수록 민감도가 높아져요. 따라서 14일의 RSI 지표보다 5일의 RSI 지표가 가격 변동에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며, 더욱 세밀한 분석을 하는 데 활용할 수 있어요.
RSI 지표 계산 공식
앞서 RSI 지표는 차트에서 간단한 설정으로 확인할 수 있어 계산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해 드렸는데요. 차트 내에서 계산되는 RSI 지표의 계산 공식을 간단하게 살펴볼게요. RSI 지표의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아요.
RSI(%) = AU / (AU + AD) = RS / (1+ RS)
– AU(average ups): 일정 기간 동안 전날 주가보다 금일 주가가 상승할 때의 주가 상승 폭 평균값
– AD(average downs): 일정 기간 동안 전날 주가보다 금일 주가가 하락할 때의 주가 하락 폭 평균값
– RS(relative strength): AU / AD
RSI 지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상승 폭과 하락 폭을 이용해 계산하는데요. 이렇게 계산된 RSI 지표는 백분율로 0부터 100 사잇값으로 나타내요. 계산 공식을 살펴보면 평균 주가 상승이 평균 주가 하락보다 크다면 RSI 지표가 100에 가깝게 나타나고, 평균 주가 상승이 평균 주가 하락보다 작다면 RSI 지표가 0에 가깝게 나타나요. 이때 일정 기간은 윌레스 윌더가 권장한 14일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 9일에서 15일, 25일 등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RSI 지표 보는 법
지금까지 RSI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실전 차트에서 지표를 보고 매매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봐야겠죠? 우선, 주식 차트에서 보조 차트로 RSI 지표를 선택하면 14일 기준, 70선과 30선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70과 30을 기준선으로 활용하지만, 종목 대부분이 상승세인 상승장에서는 70선을 80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고, 거래가 침체하여 있는 하락장에서는 30선을 20 등으로 하향 조정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RSI 지표가 70 이상이라면 금융 상품의 매수가 과열된 상태로 곧 가격이 조정되거나, 반전이 일어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요. 이와 반대로 RSI 지표가 30 이하라면 매도가 과열된 상태로 해당 주가가 반등할 수 있음을 시사해요.
만약 RSI 지표와 주가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이렇게 RSI 지표와 주가가 반대로 향하는 상황을 발산이라고 표현하는데요. 하락 발산은 주가가 새로이 최저점을 찍는 동안 RSI 지표는 더 큰 값을 형성하는 경우예요. 이럴 때는 하향 추세가 약화하고,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와 반대로 주가는 최고점을 갱신하고, RSI는 더 낮은 값을 형성한다면 상승 추세가 약화하면서 추세가 반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요.
RSI 지표가 이동평균선이나 다른 RSI 지표와 교차할 때도 투자 신호를 얻을 수 있어요. 만약 50선 위에서 교차할 때는 상승 추세를, 50선 위에서 교차할 때는 하락 추세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답니다.
RSI 지표를 활용한 매매 전략
RSI 지표를 잘 활용하면 추세를 확인하고, 매수 또는 매도 타이밍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이익을 실현하거나 적당한 손절매를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가장 일반적인 원리는 RSI 지표가 70 이상이면 매도하고, 30 이하면 매수하는 거예요. 실제로 많은 사례를 살펴보았을 때 과매수 구간에서 주가가 고점을 찍고 하락하고, 과매도 구간에서 주가가 저점을 찍고 반등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그리고 RSI 지표를 더욱 세밀하게 활용하고 싶다면 50 이상 고점에서 데드크로스(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의 아래로 내려가는 현상)를 나타내면 매도하고, RSI 지표가 50 이하 저점에서 골든크로스(두 개의 꺾은선 그래프가 서로 교차하는 현상)를 나타내면 매수하는 것도 도움이 돼요.
단, 1년 이상 장기 투자하는 경우라면 추세를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장기적으로 추세가 상승 중이라면 RSI 지표가 70을 넘는 때가 많으므로 70보다는 50 이하로 떨어질 때 매도하는 것이 합리적이에요. 반대로 주가가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중이라면 RSI 지표가 30 이하로 떨어지는 때가 많으므로, 30보다는 50을 초과할 때 매수하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이랍니다.
RSI 지표 유의 사항
지금까지 주식의 추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는 RSI 지표를 알아보았는데요. 복잡한 계산을 하지 않아도 차트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해석하는 방법만 잘 안다면 투자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그러나 RSI 지표만 믿고 투자를 결정한다면 예상치 못한 손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보통 RSI 지표는 재무가 튼튼한 기업일수록 신뢰도가 높은 편이에요. 즉, 재무가 튼튼하지 않은 일반적인 기업이나 회사의 RSI 지표는 100% 신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뜻하죠. 그러므로 RSI 지표만 믿고 추세를 판단해 주식을 매매하는 것은 다소 위험할 수 있으며, RSI 지표와 함께 MACD, 거래량 분석 등 다른 보조 지표를 참고하는 것을 권장해요.
RSI 지표로 과매수와 과매도 구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지만, 해당 구간이라고 해서 반드시 주식이 반등하거나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도 필히 알고 있어야 해요. 기업의 미래 가치나 서비스, CEO의 경영 능력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서 RSI 지표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구간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다면 기술적인 지표인 RSI 지표뿐 아니라, 기업의 내부적인 사정이나 업계 상황, 주식 시장의 흐름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 좋답니다.